반응형 지식/과학 기술3 평생을 갇혀 사는 해로새우 - 유리 해면체 해로동굴해면 목차 해로새우 어릴 때부터 죽을 때까지 거의 움직일 수 없는 공간에서 갇혀 사는 생물이 있다. 그 이름은 해로새우. 해로새우의 집 해로새우는 크기가 작은 새끼일 때 해면체의 틈으로 들어갑니다. 그 후 성장을 하면서 해면체 틈으로 나갈 수 없게 되어 평생 죽을 때까지 해면체 안에서 살게 됩니다. 그리고 해로새우가 사는 해면체는 해로동굴해면이라고 불립니다. 해로동굴해면은 다른 해면체처럼 단백질 콜라겐 생물이 아닙니다. 그물모양의 구조물은 이산화규소입니다. 이산화규소는 우리가 유리라고 불리우는 성분이며 실리카라고도 합니다. 일반적인 해면체는 수세미처럼 쓸 수 있지만 유리로된 해로동굴해면은 부셔져 버려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해로동굴해면은 비너스의 꽃바구니라고도 불립니다. 해로새우의 삶 해로새우는 평생을 해로동굴.. 2021. 8. 8. 내연기관 엔진을 대체하는 전기차의 전기모터 목차 얼마 전까지 내연기관을 타다가 전기차로 갈아 타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운행을 하다보면 차량의 움직임이 매우 다른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결국 바퀴를 굴리는 장치인데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요? 엔진과 모터 위 커브 그래프와 같이 내연기관은 엑셀을 밟으면 점차 토크가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나 전기차는 엑셀을 밟자마자 최대 토크가 가해집니다. 이 차이는 정지된 차량의 가속도 크기 차이로 나타나게 됩니다. 중저속에서 전기차의 펀치력은 내연기관보다 훨씬 뛰어나게 됩니다. 또한 간단하게 전기모터의 힘을 동력으로 이용이 가능하게 되어 에너지 효율도 매우 높습니다. 미국 오크리지 연구소에서 측정한 결과 내연기관차는 에너지의 17%를, 전기차는 37%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교류 모터와 직류 모터 (AC vs DC).. 2021. 8. 5. 색맹 색약 교정 안경 엔크로마 원리 (색맹 색약 검사) 목차 평생 동안 빨간색이 뭔지 모르고 살아온 사람들의 기분을 이해할 수 있을까요? 인터넷에 올라온 동영상을 보았습니다. 색약 교정 선물받은 후 반응 Colorblind dad experiences true color for the first time with EnChroma glasses - YouTube 위 영상은 색약을 가진 아이들의 아버지가 색약 보정 안경을 받는 영상입니다. 아이들이 앞에 있는데도 처음으로 보는 다양한 색깔에 눈물을 흘립니다. 그럼 저 색약 보정 안경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걸까요? 색맹? 색약? 색각이상? 일반적인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색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를 색각이상 혹은 색약이라고 합니다. 인간이 색을 감지할 수 있는 이유는 망막에 있는 원추세포의 .. 2021. 8.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