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발 혹은 다리에 붉은 반점이 생기고, 발열, 오한이 동반되기도 하며 심할 경우, 주변부로 점차 번져가며 괴사, 골수염 등을 일으킬 수도 있는 봉와직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우리의 피부는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세균 등을 막아주는 '최전선 장벽' 역할을 맡고 있기도 하지만, 때로는 그러한 역할을 맡고 있는 피부 장벽이 뚫리기도 하고 그에 따라 봉와직염 증상이 나타나게 되기도 합니다. 특히나 그 증세가 발 및 다리 등에 나타나므로 빠르게 인지하지 못하거나 제때에 치료 방법을 적용해주지 않는 경우도 있겠는데, 그 원인을 알게 된다면 빠르게 치료받아야만 하는 사항이라는 것을 알아차리실 수 있겠습니다. 그렇기에 오늘은 봉와직염 증상, 원인 그리고 치료법에 대하여 소개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봉와직염이란
봉와직염이란, 피부 조직 그중에서도 피부의 표피와 진피 조직으로 균이 침투해 발생하게 되는 급성 화농성 염증이자 질환이며 그렇기 때문에 연조직염이라고 명명되기도 합니다.
붕와직염 증상
초기 증세
초기의 증상으로는 두통이나 발열 그리고 오한 등이 나타날 수 있겠으며, 식욕부진이나 근육통이 동반되기도 하며 문제가 발생한 곳에 붉은 반점인 홍반이 보일 수 있는 만큼 발이나 다리 등을 유심히 살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중기 증세
발열 및 오한과 같은 초기 증상을 지나게 되면 점차 발 및 다리 등의 붉은 반점이 확실하고 뚜렷해지며 주변부로 번지게 되고, 손으로 만졌을 때 뜨겁게 느껴진다거나 통증이 수반될 수도 있겠습니다.
말기 증세
게다가 증상이 심해지면 그 주위로 퍼져나가는 속도도 빨라지게 되고, 괴사나 골수염 그리고 화농 관절염 등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되기도 합니다. 또 상황이 위급해지면 목숨까지 위태로워지게 되기도 하므로 심해지지 않게 빠른 검사 및 치료를 받아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봉와직염 원인
세균 침투
원인으로는 A군 용혈성 사슬알균 또는 황색 포도알균 등의 감염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외에도 대장균이나 비브리오 패혈균 그리고 폐렴균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침입 경로는 짓무름이나 무좀 등으로도 소개되곤 합니다.
당뇨, 궤양, 모낭염, 상처 등
또한, 당뇨가 있을 경우, 이 병에 걸리게 될 확률이 높아지게 되며 궤양이나 모낭염으로부터 비롯되기도 하며 외상으로 인해 나타난 상처가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또 벌레 물린 곳 혹은 흉터자국 등으로부터 비롯될 수도 있겠습니다.
그리고 봉와직염 원인이 위와 같은 사항 들인 만큼 세균 활성이 활발해질 수 있는 습하고 온도가 높은 여름에 발병률이 높아지기도 하면 면역력이 약하거나 노약자일 경우에는 보다 더 위험할 수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 역시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봉와직염 치료 방법
평상시에는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해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으며, 피부 청결 관리와 상처가 생겼을 때에는 소독과 약을 잘 발라주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그리고 무좀이나 당뇨가 있으실 경우에는 청결 관리에 조금 더 힘을 써주시는 게 좋고, 고름이 나오는 등 증상이 악화된다면 반드시 전문가를 통해 진단받고 치료를 받아 2차 감염 및 증상의 악화가 나타나지 않도록 예방해주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그리고 병명이 판명된 이후에는 항생제를 사용해 주고, 또 추가 감염으로 인해서 통증이 심화될 수도 있는 만큼 진통제를 통해 치료를 할 수도 있고 또, 무좀이 있을 때에는 항진균 치료까지도 병행하게 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상 완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는 입원치료가 필요해질 수도 있겠습니다.
초기의 치료 방법으로는 얼음주머니 또는 차가운 수건을 통해 냉찜질을 해주고 문제가 발생한 곳은 심장보다는 높은 위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다리를 위로 올려두는 식으로 자세를 취해주고 가급적 심한 활동 및 운동 등은 삼가 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초기 관리만 잘해줘도, 증상이 심각한 상태로 가진 않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바쁜 일상으로 인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게 돼서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도 있는 게 봉와직염이기도 하므로 초기 증상이 나타날 때에 빠르게 치료받아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