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건강 헬스

이석증 증상 원인 및 치료방법

by 상상기준님 2023. 1. 10.
728x90

어지러움 원인이 빈혈에만 있다고 오해하시는 경우도 있겠는데, 어지러운 증상은 감기를 비롯해 다른 여러 이유로부터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 그중에는 이석증 증상도 있는데 단어에 대한 생소함을 느끼시거나 증상의 원인 및 치료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 오늘은 관련한 내용들을 소개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이석증이란?

    우리 귀속에는 여러 관들이 존재하는데 그중에는 평형감각과 관련 있는 전정기관과 균형 잡는 것을 도와주는 달팽이관 등도 있습니다. 또, 그중 평형감각을 맡고 있는 전정기관에 이상이 생겨 이석증이 나타나게 되는데 미세한 돌이 떨어지고 이에 반고리관이 자극받아 심한 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구체적인 증상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설명드릴 수 있는 부분은 역시 '어지럼증'이겠는데요. 강도는 사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단순한 경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나 일상이 위협받을 만큼 심각하게 나타날 수도 있겠습니다. 또 온 세상이 빙글빙글 도는 것 같기 때문에 속이 메스껍거나 구토가 유발될 수도 있겠습니다.

     

    덧붙여 이석증의 경우, 식은땀이 흐르게 되거나 심장 두근거림을 느끼게 할 수도 있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스레 치료가 되기도 하고 또 금방 나을 수도 있는 병이긴 하나 재발의 확률 역시 높은 질병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발생 원인

    이석증은 대체로 나이가 어린 분들보다는 나이가 어느 정도 있으신 분들에게서 나타나곤 하는데 이는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이석기관에서 칼륨이 빠져나가기 때문이기도 하겠습니다. 또 그 외에도 머리에 큰 충격을 받았다거나 회전이 심한 놀이기구를 탄 경우에도 발생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여성분들은 단순한 빈혈이나 피로에 의한 증세라고 의심하실 수도 있겠으나 일반적인 수준을 벗어난 범위로써 어지럼 거나 구토와 같은 증세까지 함께 나타난다면 이석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리고 또 퇴행성 변화와 관련이 되기도 하고, 비타민 d의 부족, 골다공증으로 인해 나타나게 되기도 하며, 이 경우에는 칼슘 대상에 이상이 있는 것인 만큼 관련한 비타민을 섭취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면역력 저하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기도 하고 과도한 스트레스도 발생원인이 될 수 있으니 정신적인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를 꾀해보거나 충분한 휴식을 가져보셔도 좋겠습니다.

     

    치료 방법

    생활습관의 변화

    대부분의 병이 그러하듯 면역력이 약화되면 이석증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만큼 면역력 증가를 도와볼 수 있는 식단을 유지해 가보시길 바라며, 주 3회 이상은 꼬박꼬박 운동을 해보시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겠습니다.

     

    두위변환검사 및 이석치환술

    하지만 그러한 관리를 해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호전이 없을 경우에는 두위변환검사를 통해서 이석이 들어간 위치를 확인해 진단하고 또 이석 치환술을 시행받아보실 수도 있겠는데요. 하지만 한 번으로 회복이 되는 케이스가 있는가 하면, 2회 이상을 필요로 할 수도 있고, 어지러운 증상이나 구토를 경험하게 될 수도 있는 만큼 약도 함께 병행하며 치료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는 음식 섭취

    너무 짠 음식이나 과음, 과식 등은 피하시고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먹어주시는게 효과적일 수 있겠는데요. (칼륨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바나나와 아보카도를 소개드려볼 수도 있겠습니다.) 또 마늘처럼 면역력 향상과 림프 흐름을 도와주는 식재료 및 혈액순환을 도와줄 수 있는 검은콩, 귀의 노화 방지에 효과적인 참깨 등을 평소 식단에 넣어 섭취해주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전문적인 진단, 치료

    이석증은 어지러운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워질 만큼의 문제를 일으키게 되기도 하는 만큼 의사의 전문적인 진단과 소견을 받아 치료를 받아보시는 게 가장 중요할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