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건강 헬스

잠꼬대 하는 이유, 그 원인 및 개선 대처 방법

by 상상기준님 2023. 1. 7.
728x90

 

 

 

 

잠꼬대는 수면 중에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본인 스스로가 알아차리기는 힘들다는 특징을 보이기도 하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함께 잠을 청하는 다른 이에게서 혹은 가족이나 룸메이트를 통해 알게 되는 경우도 많겠는데요. 또한 본인에게도 피해가 갈 수 있지만 다른 이들이 깊은 숙면을 취하지 못하도록 만들 수도 있으니 오늘은 잠꼬대하는 이유, 그 원인 및 개선 대처 방법에 대하여 소개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잠꼬대란?

    잠을 자는 상태는 크게 2가지 상태로 나누어볼 수가 있겠는데 하나는 렘수면 그리고 하나는 비렘수면으로 구분이 가능하겠으며, 렘수면시에 꿈을 꾸게 되는데 한 번만 꿈을 꾸는 게 아니라 다른 꿈으로 전환이 되기도 하며 그 사이에 의식이 깨어나 말을 하게 되기도 하는데 이를 가리켜 잠꼬대라고 부릅니다.

     

     

     

     

     

    잠꼬대 하는 이유

    근본적인 이유 

    그렇다면 잠꼬대 왜 하는 것인지 그 이유가 궁금하실 수도 있겠는데요. 우리가 렘수면 상태에 접어들게 되면 뇌는 여러 가지 정보들을 저장시키고 또 몸의 움직임을 둔화시키는 뇌간이 작동하여 산소 공급에 필요한 호흡 이외에 다른 일에 쓰이는 근육들은 마비 상태에 접어들게 되는데 이 기능이 정상 작동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것이겠습니다.

     

    구체적인 원인 (1)

    하지만 과로를 하였거나 피로가 쌓여있는 때에는 정상적으로 마비가 되지 않아 꿈에서 하고 있는 언어구사를 실제로도 표출해버릴 수 있어 그때에 잠꼬대가 나타나는 것이기도 하겠습니다. 따라서 잠꼬대를 한 날에는 너무 과도한 업무량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자신의 컨디션이나 피로도를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 그 빈도수가 높을 경우에 더욱더 빈번히 나타나게 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하실 수가 있겠는데요.

     

    구체적인 원인 (2)

    뿐만 아니라 노화 역시 그 원인이 될 수 있겠으며 과음이나 열이 날 때에도 뇌간의 비이상적인 행동으로 인해 우리는 꿈에서 하던 말을 실제로도 다른이에게 할 수가 있습니다.

     

     

     

     

     

     

     

    잠꼬대 개선 및 대처 방법

    원인 해결하기

    어떤 상황에서든 문제가 발생하면 그 원인부터 적절히 해결해나가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대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해주시고, 업무량을 줄이거나 정신적 압박을 줄여볼 수 있도록 노력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특히나 숙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은 적극 활용해 보고, 방해가 되는 원인은 적극 개선하며, 수면다원검사 등을 통해 도움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어 그 방법도 함께 소개드려보고자 하는데요.

     

     

    숙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숙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적응적으로 활용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는데요. 특히나 잠을 자기 1시간 전에 따뜻한 물을 통해 샤워를 해주시면 근육의 이완을 도울 수 있어 숙면을 취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고 피로까지 함께 풀리는 효과를 기대해 보실 수도 있겠습니다.

     

    숙면에 방해가 되는 행동

    또 숙면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개선시켜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특히나 잠에 들기 전 음식물을 과도하게 섭취하거나 스마트폰을 오랫동안 들여다보는 것도 잠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잠들기 전에는 되도록 음식 섭취를 자제해 주시고, 스마트폰 역시 잠자리에서 먼 곳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한 구체적인 진단

    잠꼬대를 과로나 극심한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가벼운 증세로 치부할 수도 있겠으나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고 잠을 자는 도중에 몸을 심하게 움직인다거나 떠는 등으로 행동장애까지도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겠으니, 관련한 증상이 빈번히 나타나는 것 같다고 하면 가까운 병원으로 내방하여 적극적인 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겠습니다.

     

    특히나 수면다원검사 등을 받게 되면 잠을 자는 동안에 나타나는 호흡의 변화, 다리의 움직임, 뇌파 그리고 심전도 변화 및 산소포화도에 대한 정보까지 함께 얻을 수 있어 어떤 점이 문제가 되어 숙면을 방해하는 것인지 보다 더 확실하게 확인해 보실 수도 있겠습니다.

     

     

     

     

    반응형

    댓글